
▶ 편저 신태호
▶ 구 성
크기: 19㎝/26㎝ 쪽수: 297 page
신경침구치료학 상편 1~15
page 총론 17~24 page 하편 각론(병증치료)27~180 page
골과신경학 차례
183~186 page 머리말 187~190 page 내용 191~295 page
참고그림296~297 page
▶ 정
가 : 40,000원
|
▶
▷ 총 론 ▷
1.
침구와 신경
모
병원 침구과 입원실 통계에 의하면
50명의 입원환자 중에 신경과에
속하는 환자는 40-42명으로 80%를
차지했다. 기중 뇌혈관의외(腦血管意外)질병이
1위를 차지하고, 뇌염, 척수염,
말초신경염이 2위를 차지했다.
신경계통의 퇴행성병변이 3위를
차지하고, 신경계통 중에서 기능실조
위주의 신경 관능증이 4위를 차지하고,
뇌 외상, 척수외상 후유증이 5위를
차지하고, 신경계통 중에서 대사
장애성 질병이 6위를 차지하고,
뇌척수종양 수술 후 신경손상
혹은 방사선 치료 후유증이 7위를
차지하고, 일부의 신경계통 선천성
질병이 8위를 차지했다.
때문에
신경계통의 기본 지식을 배우고,
신경계통의 검사방법을 장악하여,
매개 신경계통질병의 정위, 정위진단,
가능하면 발병의 원인을 확인하고,
전통의학의 변증분형을 운용하여,
침구를 위주로 하는 치료방법으로,
위급한 환자와 완고한 질병은
전통의학, 양의학의 약물치료를
겸하여 종합적 치료함으로 침구의
신경계통 질병에 대한 치유율의
제고, 치료시간의 단축, 재발
율을 감소하는 좋은 방법이다.
2.
신경계통 검사와 임상의의
신경계통
검사의 목적은 매개 질병의 정위(定位),
성질을 정하고(定性), 병인(病因)을
밝힘으로 침구치료의 취혈, 치료법과
보조 약물치료에 근거를 제공함으로
순서는 질병사(疾病史)를 요해하고,
내과검진, 신경계통의 검사하는
내용을 아래와 같이 나누어 설명한다.
3.
신경계통질병의 침구치료법
신경계통의
질병 병명은 많으나, 병증에 근거하여
의식장애, 감각이상, 운동손상,
대사문란, 기능실조 등의 다섯
가지로 나눈다. 의식장애는 혼미,
기면(嗜睡), 몽롱, 정신분열 등;
감각이상은 시력 흐림, 청력저하,
후각소실, 지체마비, 감각결손,
혹은 두통, 면통, 경통, 흉배요통,
사지통증 등; 운동손상은 안구움직임이
영활하지 못하고, 안면마비, 사지마비,
절탄(截?)과 근육위축, 무력,
다동증(多?症), 경련, 떨림, 공제실조(共?失?);
대사물란은 주기성마비(周期性麻?),
중증근육무력 등; 기능실조는
신경쇠약, 불면, 소동맥경련증,
치매와 기타 신경관능증 등이다.
|